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일반형 vs 서민형 ISA, 뭐가 다를까? 수익·세금 완전 비교표 총정리

by mintdrop5 2025. 6. 25.
반응형

같은 ISA인데 '일반형'과 '서민형'이 있다고요?
수익도, 세금 혜택도 다르다는데... 나한테 맞는 건 뭘까요?
이 글에서 간단 비교표로 쉽게 설명드릴게요.


ISA란?

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한 계좌에 담아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만능 계좌입니다.
2023년부터는 일반형뿐 아니라 서민형 ISA도 강화되면서, 연소득에 따라 비과세 한도가 달라졌어요.


📊 일반형 vs 서민형 ISA 비교표

항목 일반형 ISA 서민형 ISA
가입 조건 만 19세 이상 누구나
(고소득자 가능)
총급여 5천만 원 이하
or 종합소득 3,500만 원 이하

+ 농어민
비과세 한도 200만 원 400만 원
의무 가입 기간 3년 이상
납입 한도 연 2,000만 원 (총 1억)
투자 가능 상품 예금, 펀드, ETF, 리츠 등
세금 부과 방식 200만 원 초과분은 9.9% 400만 원 초과분은 9.9%

💰 실제 수익 예시

3년간 ISA로 300만 원 수익을 냈을 때의 세금 차이는?

  일반형 ISA 서민형 ISA
총 수익 300만 원 300만 원
비과세 적용 200만 원까지 400만 원까지 전액 비과세
과세 대상 100만 원 0원
세금(9.9%) 약 9,900원 0원

🙋 누가 서민형 ISA를 선택해야 할까?

  • 연봉 5천만 원 이하 직장인
  • 프리랜서·일용직 근로자
  • 농어민·자영업자
  • 사회초년생·근로소득 적은 분

💡 국세청 홈택스에서 소득금액 증명서로 확인 가능


✅ 한눈에 정리: 나는 어떤 ISA를 선택해야 할까?

상황 추천 ISA
연봉 5천 이상 일반형 ISA
연봉 5천 이하 서민형 ISA
농어민 서민형 ISA
ETF·펀드에 관심 있는 투자자 둘 다 가능, ISA 적극 활용

📌 마무리 TIP

ISA는 단순한 계좌가 아니라 합법적인 절세 도구입니다.
소득 조건만 맞는다면, 무조건 서민형 ISA가 유리하니 꼭 확인해보세요!

👉 국세청 홈택스 소득 확인 바로가기

---

반응형